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노벨문학상 메달과 증서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작가 한강이 아시아의 여성으로서 처음으로 10일(현지시각) 202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한강은 시상식에 이은 특별 연회에서 “필연적으로, 문학작품을 읽고 쓰는 행위는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와 반대되는 일”이라며 “이 문학상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다”는 수상 소감을 전했다.
‘노벨의 날’로도 불리는 이날,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시상식에 참석한 한강은 단정한 검정색 드레스를 입고 푸른 카펫이 깔린 무대에 올랐다. 11명의 수상자들은 스웨덴 왕족의 맞은편 빨간 의자에 앉았다. 8번째 자리에 앉은 한강은 유일한 여성 수상자이기도 했다. 그는 노란빛 영문으로 ‘노벨상’이라 적힌 무대 중앙에 서 칼 구스타브 16세 스웨덴 국왕에게 메달과 증서를 받았다. 줄곧 큰 표정 변화가 없던 그는 상을 건네받은 뒤 메달이 담긴 상자가 갑작스레 ‘쿵’ 하고 닫히자 국왕을 바라보곤 활짝 웃어 보이기도 했다. 1560여명의 청중들은 환호와 함께 그의 모습을 찍으며 함께 축하했다.
10일(현지시각) 작가 한강이 수여받은 노벨증서. 사진 노벨재단 제공
한강이 받은 푸른빛 증서 왼쪽면엔 이 상을 제정한 알프레드 노벨(1833~1896)의 유언 일부이기도 한 “이상적인 방향으로 문학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을 만든 사람”이란 문장이 스웨덴어로 적혀 있었다. 그가 상을 받은 뒤엔 영국의 여성 오보에 연주자 겸 작곡가 루스 깁스가 작곡한 ‘암바르발리아’가 연주됐다. 시상식 내내 두 손을 모으고 차분한 표정으로 앉아있던 그는 수상자들의 수상 이후 연주곡이 흘러나올 때면 오케스트라 객석을 올려다봤다.
한강의 수상 소감은 시상식을 마친 뒤 스톡홀름 시청사에서 진행된 저녁 특별 연회에서 들을 수 있었다. 그는 “문학작품을 읽고 쓰는 행위는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와 반대되는 것”이라며 “언어의 실을 따라 다른 사람의 마음 깊은 곳으로 들어가 그의 내면을 만나고, 나의 가장 중요하고, 가장 긴급한 질문들을 그 실에 맡겨 다른 이들에게 보내는 일을 해 왔다”고 전했다. 31년여간 글을 쓰며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 온 그가 문학의 의미에 대해 밝힌 순간이기도 했다. 한강의 소감 발표에 앞서 사회를 본 스웨덴 대학생은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소개하게 되어 영광입니다”라며 예상치 못한 한국말로 그를 소개해 즐거움을 주기도 했다.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다른 수상자들로부터 축하 박수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노벨재단의 연회는 수상자들을 위한 축하 행사의 대미를 장식하는 큰 행사다. 이날은 1250여명의 귀빈이 저녁 7시부터 4시간 넘게 이어지는 만찬에 참여했다. 한강은 스웨덴 마들렌 공주의 남편인 크리스토퍼 오닐의 에스코트를 받아 만찬장에 입장했고, 그와 안드레아스 노를리엔 국회의장,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 등과 함께 중앙에 마련된 탁자에 앉았다. 칼 구스타브 국왕이 노벨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축배사로 만찬의 시작을 알린 뒤엔 식사와 함께 무용과 노래, 연주 등 다양한 이벤트가 이어졌다. 만찬을 생중계한 스웨덴 공영방송 에스브이티는 만찬장 한 쪽에서 ‘작별하지 않는다’를 비롯한 한강의 책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카메라로 한강의 모습을 담았다.
한편, 한강의 노벨상 수상을 축하하기 위해 영하의 날씨에도 교민 등 100여명이 시상식 전 콘서트홀 바깥에서 응원을 전했다. 전라남도 장흥군 김성 군수를 비롯한 도민들과 스웨덴 한인회 교민들 및 모교 연세대학교 학생들은 태극기를 흔들며 한강을 외치기도 했다.
스톡홀름/장예지 특파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