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밤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긴급 대국민 특별 담화를 통해 비상 계엄을 선포하고 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국민 대다수는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7명은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3일 돌발적인 비상계엄 선포가 ‘반(反)국가적 내란행위’라는 주장에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헌법에 따른 정당한 권한 행사로 여긴 국민은 10명 중 1명 수준에 불과했다. 검찰과 경찰 등이 윤 대통령에 대한 내란 혐의 수사에 뛰어든 상황에서 국민 대다수도 이번 계엄을 위헌·위법 조치로 평가한 셈이다. 또 국민 87%는 비상계엄 선포를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이·성별·지역·정치성향·지지 정당을 막론하고 부정 평가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국민일보가 9일 창간 36주년을 맞아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6~7일 실시한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사태 이후 이에 대한 국민적 평가가 구체적으로 나온 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국회의 권한 제한을 시도한 반국가적 내란행위’라는 견해에 대해 응답자의 63%가 ‘매우 공감한다’고 답했다. ‘어느 정도 공감한다’는 응답까지 포함하면 71%에 이른다. 반면 이 주장에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별로 공감하지 않는다’ 등의 응답은 24%에 그쳤다.
내란 행위에 대한 평가는 그러나 지지 정당별로 입장이 분명하게 엇갈렸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90%는 내란으로 봤지만, 국민의힘 지지자의 63%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40‧50대 중장년층(각 80%, 86%)은 내란이라는 견해가 강했지만, 70세 이상은 46%가 반대로 평가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헌법에 규정된 대통령 권한을 행사한 정당한 행위’라는 주장에 공감하는 응답은 16%에 불과했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81%(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73%)에 달했다. 여기에서도 국민의힘 지지층 52%는 공감한다고 답하며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42%)보다 10% 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자체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87%에 달했다. 비상계엄 선포를 지지한다는 응답은 10%를 나타냈다. 지지한다는 응답은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한 자릿수 비율에 그쳤다. 60대 중에서는 17%가, 70세 이상 응답자 중에서는 20%가 비상계엄 선포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여권의 텃밭인 대구·경북(TK)에서 그나마 비상계엄 선포를 지지한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지만, 그 비율도 16%에 그쳤다.
보수층이나 여당 지지자들 대부분도 계엄 선포 자체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자신의 정치 성향을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 가운데 74%가 비상계엄 선포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지지층 중에서도 비상계엄 선포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8%로, 지지한다는 응답(35%)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해 반대 의견을 밝힌 응답자 중에서도 51%는 비상계엄 선포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국민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실시됐다. 100% 무선전화 인터뷰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여론조사 대상자는 통신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하는 방법으로 선정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응답률은 15.4%였다.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가중(셀 가중)이 적용됐다. 이 밖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종선 기자
[email protected]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